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서울, 수도권, 광역시, 기타지방 출산지원금 현황

by realrealrich 2025. 4. 8.
반응형

출산 관련 사진

 

2025년 서울수도권 출산지원금 현황

 

서울 수도권은 매해 많은 인구가 유입되고 인구수가 가장 많은 도시이나, 출산율 자체적으로는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 중에 있습니다. 이에, 서울시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산지원금 정책을 더욱 강화했습니다. 2024년 기준 둘째 자녀 출산 시부터 지원금이 지급되었으나, 2025년부터는 첫째 자녀 출산 시부터 지원금을 지급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첫째 자녀 출산 시 200만 원, 둘째 자녀는 300만 원, 셋째 이상은 500만 원까지 지원되며 현금 및 바우처 형태로 제공됩니다. 또한, 출산 이후 산후조리원 비용 일부를 시에서 보조해 주며 육아휴직 중인 부모를 위한 추가 지원금도 지급됩니다. 신청자는 반드시 6개월 이상 서울에 거주하고 있어야 하며, 거주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일부 혜택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자치구별로도 차등 혜택이 있기 때문에 거주 중인 자치구 지원사업에 대해서도 면밀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경기도는 시군별로 다양한 출산지원 정책을 운영중에 있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도 전체 공통적으로 첫째 자녀 150만 원, 둘째 자녀 250만 원, 셋째 이상은 최대 600만 원까지 현금으로 지급이 되고 있습니다. 이외, 실질적인 추가 혜택은 시군에 따라 매우 다르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거주 중인 시군의 지원사업을 미리 확인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인천시는 서울 수도권 중에서도 최근 몇 년간 출산율 감소가 가장 두드러졌던 지역 중 하나 입니다. 이에, 2025년부터 출산지원금 정책이 대폭 강화되었습니다. 첫째 아이 250만 원, 둘째 400만 원, 셋째 이상은 최대 700만 원까지 지원되며 이는 전국 지자체 중에서도 상위권 수준입니다. 부가적으로 출산 가정에 가전제품 지원(공기청정기, 아기침대 등)을 시행 중이며 인천 e음카드 발급을 통해 월별 육아지원금도 추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2025년 광역시 출산지원금 현황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부산광역시는 첫째아이 출산 시 200만 원, 둘째 300만 원, 셋째 이상 500만 원을 출산지원금으로 지급합니다. 또한, 부산시는 '행복출산바우처' 발행을 통해 육아용품, 교육서비스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추가적으로 제공합니다. 구에 따라 구청 차원의 추가 혜택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거주하고 있는 구에 따라 실질적으로 받는 혜택은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대구광역시와 광주광역시는 첫째 자녀 출산시에는 지원금이 지급되지 않고 있습니다. 둘째 자녀부터 출산지원금이 지원됩니다. 두 도시 모두 젊은 도시로 손꼽히지만, 출산율은 갈수록 하락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첫째 자녀 출산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점은 매우 아쉽습니다.

대전광역시는 2025년부터 '대전형 출산기본소득제'를 도입하였습니다. 첫째 아이 출산 시 250만 원, 둘째는 400만 원, 셋째 이상은 600만 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일부는 육아전용 상품권의 형태로 지급되며 지역 내 소비 촉진도 함께 유도하는 제도입니다. 산후도우미 이용료의 90%까지 보조해 주는 정책 또한 주목받고 있습니다. 

울산광역시는 제조업 근로자 중심의 사업구조를 가진 도시로, 맞벌이 부부를 위한 출산혜택이 눈에 띕니다. 출산일 기준 전후 1년간 유급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 월 50만원 씩 최대 12개월간 추가적으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타 지방 소도시 출산지원금 현황 (강원, 전남, 경북, 제주 등)

 

기타 지방 소도시의 경우, 저출산 뿐만 아니라 인구소멸 위기를 동시에 겪고 있기에 출산 장려를 위해 파격적인 출산장려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일부 지역의 경우 현금 지원뿐 아니라 주거, 보육, 의료, 교육 등 포괄하여 통합적인 복지정책으로 전환 중에 있습니다.

강원도 인제군은 첫째 아이 출산시 300만 원, 둘째 500만 원, 셋째 이상은 무려 1,000만 원까지 지급이 됩니다. 출산과 동시에 산후조리비 지원까지 모두 포함됩니다. 또한, 1년 이상 거주 시 추가 보너스를 지급하여 귀농, 귀촌가정의 정착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전라남도 고흥군 또한 인제군과 동일한 금액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생아 대상 건강보험료를 1년 면제해 주는 혜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전국 최초로! '출산가정 주거지원제도'를 도입하여 2년간 임대주택을 무상 제공하는 파격적인 정책을 시행 중입니다. 전라남도 장흥군은 셋째 이상 출산 가정에게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학비 전액 면제 혜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전남의 경우, 단기 현금 지원이 아닌 장기 복지 투자로 바라보며 현지에서 거주하는 인구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자 노력중에 있습니다.

경상북도 의성군은 우리나라 인구소멸 예상 지역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국 최고 수준의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첫째 자녀 출산 시 500만 원, 둘째 800만 원, 셋째 이상은 1,500만 원을 지원합니다. 또한, 출산가정에게 전세자금 3년 무이자 대출과 함께 차량 구매 지원금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반응형